로드맵

MIH 프로젝트는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하여 순차적으로 목표를 실행한다. 각 단계는 기술 개발과 사업 확장의 핵심 마일스톤으로 구성된다:

  • Phase 1: PG 시스템 개발 (2025 상반기)

    • 목표: MIH Coin의 핵심 결제 기능 구축.

    • 주요 내용: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MIH 토큰 발행, 기본 보상·소각 기능 포함), 웹지갑 MVP 출시, PG 결제 모듈 개발 및 제휴몰 등 초기 파트너 연동. 이 단계에서는 소수의 테스트 가맹점과 폐쇄 베타테스트를 진행하여 기술 안정성을 확보한다. 또한 국내외 전자금융관련 인·허가가 필요할 경우 신청 및 확보.

    • 성과 지표: 테스트넷 거래 성공률, 결제 처리 속도(승인 ~ 완료까지 5초 이내), 웹지갑 일간 활성 사용자(DAU) 확보 등.

  • Phase 2: DeFi 기능 확장 (2025 하반기)

    • 목표: 스테이킹 및 유동성 등 DeFi 모듈의 출시로 플랫폼 기능 보강.

    • 주요 내용: MIH 스테이킹 플랫폼 오픈(예치 보상 개시), 유동성 풀 운영 개시 및 유동성 마이닝 프로그램 시작. 사용성 개선을 위해 UI 개편 및 사용자 가이드 제공. 이 단계에서 MIH 토큰을 거래소(국내/글로벌) 최초 상장 추진하여 거래 유동성 확보.

    • 성과 지표: 스테이킹 참여율(예: 유통량 대비 30% 이상 예치), DEX 유동성(풀 예치금 규모) 및 MIH 시가총액 등.

  • Phase 3: 온/오프라인 가맹점 확대 (2026)

    • 목표: 사용처 확대를 통한 실사용 볼륨 극대화.

    • 주요 내용: 주요 프랜차이즈 및 온·오프라인 쇼핑몰과 제휴하여 MIH 결제 지원. 예를 들어, 편의점, 커피전문점, 이커머스 사이트 등에 PG 시스템 통합을 추진. 또한 MIH 카드 정식 출시 및 카드사 제휴를 통해 카드결제 인프라 확보. 이용자 저변 확대를 위해 대대적인 마케팅 (캐시백 프로모션, 추천인 보상 등) 시행. 기술적으로는 Layer2 또는 자체 사이드체인 도입 검토하여 트랜잭션 처리속도 향상 및 수수료 절감.

    • 성과 지표: 가맹점 수 (예: 2026년 말까지 1만 개 가맹점 계약), 일일 결제 건수 및 결제액, MIH 카드 발행 장수 및 사용량.

  • Phase 4: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 (2027 이후)

    • 목표: 글로벌 시장 진출 및 글로벌 사용자 확보.

    • 주요 내용: 동남아시아, 북미 등 해외 PG 사업자 및 유통사와 파트너십 체결. 현지 규제에 맞춘 서비스 론칭 (예: 국가별 스테이블코인 연동, 다국어 웹지갑 지원). 글로벌 주요 거래소 추가 상장 및 해외 커뮤니티 구축. 또한 국제 송금 솔루션으로서 MIH 활용을 모색하여, 해외근로자 송금시장 등에서 파일럿 테스트 진행.

    • 성과 지표: 해외 사용자 수, 해외 거래 비중, 글로벌 파트너십 건수, 지역별 거래 최적화(예: 현지 통화로 즉시 환전 비율) 등.

  • Phase 5: 거버넌스 및 생태계 자립 (2028 이후)

    • 목표: 탈중앙 거버넌스 정착과 생태계의 자립적 성장.

    • 주요 내용: MIH DAO(탈중앙자율조직) 출범을 통해 토큰 보유자 거버넌스 투표 실시. 중요 정책 (수수료율, 보상율, 추가 발행 등)을 온체인 투표로 결정하고, 커뮤니티 기여자에 대한 보상 체계 구축. 또한 MIH 플랫폼이 없어도 타 개발자나 업체가 MIH 네트워크를 활용해 서비스 구축이 가능하도록 오픈API 및 SDK 공개, 개발자 에코시스템 육성.

    • 성과 지표: 거버넌스 투표 참여율, 제안 통과 건수, 외부 생태계 프로젝트 수, 네트워크 트랜잭션 수 등이 지속 성장.

로드맵은 내·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각 단계 전환 시점에 커뮤니티에 진행 상황을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규제나 기술 스택 변화(예: 이더리움 업그레이드 등)에 따른 일정 조정 가능성을 열어두고, 언제나 투명한 소통으로 신뢰를 구축하는 것을 우선시한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