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아키텍처

하이브리드 구조 설계

MIH 플랫폼은 온체인(On-Chain) 요소오프체인(Off-Chain) 요소를 통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로 설계된다.

온체인 부분은 MIH 토큰 및 스마트 컨트랙트가 동작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이고, 오프체인 부분은 실시간 결제 처리와 사용자 인증 등을 담당하는 결제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러한 이중 구조를 통해 탈중앙화의 신뢰성중앙시스템의 성능을 모두 확보한다.

멀티체인 지원

MIH는 이더리움 가상머신(EVM)과 호환되는 BNB 스마트 체인(BSC)에서 구축되며, 자체 토큰인 MIH은 BEP-20 토큰 표준으로 발행된다.

추후 멀티체인 지원 목표에 따라 이더리움 레이어2 확장도 고려한다. 블록체인 상에서는 토큰 발행/소각, 스테이킹 보상 등 DeFi 기능이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현되어 투명하게 동작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MIH를 스테이킹하면 이에 따른 보상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동 계산·분배한다.

실제 상점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MIH로 결제할 때는 오프체인 서비스인 결제대행(PG) 서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결제를 요청하면 PG 서버는 블록체인 상의 트랜잭션 생성을 중계하고, 필요 시 즉시 결제를 위해 자체 잔고에서 선결제한 뒤 블록체인 트랜잭션 확정을 기다릴 수도 있다.

이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결제 요청: 사용자가 가맹점에서 MIH결제를 선택하면, PG 서버가 결제 금액 및 지갑 주소 등의 정보를 전달 받는다.

  2. 금액 환산: PG 서버는 실시간 환율 API를 통해 해당 금액에 상당하는 MIH 수량을 산정한다.

  3. 잔액 확인 및 트랜잭션 생성: 사용자의 웹지갑 혹은 연동 지갑에서 결제에 충분한 MIH 잔액이 있는지 확인한다. 충분하다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하여 결제 트랜잭션(사용자 → 가맹점 지갑 주소로 MIH 이체)을 생성한다.

  4. 블록체인 검증: 생성된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되어 검증 및 블록에 포함된다. 탈중앙 네트워크의 검증으로 거래의 불변성과 투명성이 확보된다​. 통상 수초~수십초 내에 블록에 포함되어 1차 확인이 완료된다.

  5. 결제 완료 및 통지: 일정 컨펌(confirmations)이 확보되면 거래가 최종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PG 서버는 가맹점에게 결제 완료 콜백/알림을 보낸다. 이로써 가맹점은 결제를 확인하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한다.

  6. 정산 처리: 가맹점이 원하는 정산 형태(법정화폐 또는 MIH 유지)에 따라 정산을 진행한다.

결제 지원 화폐

현재 MIH, USDC 결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향후 법정화폐 결제도 지원 예정이다.

Last updated